VLOOKUP 함수와 함께 MATCH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기본 데이터가 있는 경우
강OO의 학생연락처를 찾아오는 수식을 작성하면
=VLOOKUP(A2,$A$1:$D$8,4,FALSE) 처럼 작성할 수 있다.
만약 기본데이터의 B와 C 사이에 학년 데이터를 추가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변경되게 된다.
기본 데이터가 변경되면 기존 사용하던 수식도 변경해주어야하는데
=VLOOKUP(A2,$A$1:$E$8,4,FALSE) .. 이 부분은 중간에 열 삽입하면 자동으로 변경된다.
=VLOOKUP(A2,$A$1:$E$8,5,FALSE) .. 찾고자 하는 데이터의 열의 위치이기 때문에 맞게 변경해주어야 한다.
하지만 MATCH 함수를 사용한다면 데이터 열의 위치를 숫자로 기입하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.
=MATCH(검색할 값, 검색할 범위, 0) .. 0은 정확히 일치
=VLOOKUP(A2,$A$1:$D$8,MATCH("학생연락처",$A$1:$D$1,0),FALSE)
검색할 범위를 VLOOKUP의 데이터범위의 첫 행으로 설정하는 것이다.
이렇게 하면 기본 데이터가 추가된다고 하더라도 수식을 수정하지 않을 수 있다.
위의 기본데이터를 가지고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만든다고 가정해보자.
강OO 학생의 학생연락처의 수식은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고,
=VLOOKUP($A2,$A$1:$E$8,MATCH("학생연락처",$A$1:$E$1,0),FALSE)
"학생연락처"의 부분을 문구가 작성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.
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해당위치의 문구를 수정하면 아래의 수식에 데이터가 변경된다.
=VLOOKUP($A2,$A$1:$E$8,MATCH(B$12,$A$1:$E$1,0),FALSE)
이런식으로 수식을 짜두면 B12행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 아래의 데이터 값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.
'엑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XCEL/엑셀] LEN 함수로 금액 표시 하기 (0) | 2025.02.24 |
---|---|
[EXCEL/엑셀] VLOOKUP 함수2 2가지 기준으로 값 찾기, 2개 이상의 값 찾기(FEAT.COUNTIF) (0) | 2025.02.23 |
[EXCEL/엑셀] COUNTIF, COUNTIFS 기본 사용법 (0) | 2025.02.21 |
[EXCEL/엑셀] SUMIF, SUMIFS 기본 사용법 (0) | 2025.02.21 |
[EXCEL/엑셀] VLOOKUP 함수 사용하기 1 기본 사용법 (0) | 2025.02.17 |